CEO 84%, '최근1~2년 내 주변에서 납품비리 경험'

“기업사회의 납품비리 얼마나 심각한가?” 설문에 참여한 CEO들 중 84%는 ‘최근 1~2년 사이에 납품비리를 경험하거나 주변인으로부터 그러한 상황을 전해 들었다’고 응답했다. 반면, ‘최근 1~2년 내 납품비리를 경험한 적이 없었다’고 응답한 CEO는 11%였다.

‘최근 업무관련 납품비리 직접 (요구) 받았다’, CEO 과반수

최근 1~2년 사이 업무와 관련해 납품비리를 직접 요구 받은 CEO도 절반 이상을 차지했다.

설문에 응답한 114명의 CEO중 총 52%의 CEO가 업무납품 관련 비리를 직접 요구 받았다. 납품과정과 관련해 ‘직접 비리를 요구 받은 CEO들은 기업사회의 투명도 수준을 어떻게 평가할까? 과반수인 63%의 CEO들은 우리기업 사회에 만연돼 있는 비리 수준이 ‘심각하다’ 고 평가했다.

‘매우 심각한 수준이다’(19%)와 ‘다소 심각한 수준이다’(44%)를 합한 수치다. 이어, ‘다소 드물게 일어나는 수준이다’가 29%, ‘매우 드물게 일어나는 수준이다’가 6%를 기록했다.

‘민간사회 비리가 공직사회와 비슷하거나 더 심각하다’ 59%

CEO 과반수는 ‘민간사회 비리가 공직사회와 비슷하거나 더 심각하다’고 응답했다(59%). 이는 비리가 만연되어 있는 공직사회와 비교해 보았을 때 민간사회의 납품비리 정도는 그와 상응하거나 ‘더 심각하다’는 의견이었다.

‘훨씬 더 심각하다’는 의견과 ‘어느 정도 더 심각하다’는 의견이 20% 였으며, ‘공직사회와 비슷한 수준이다’는 의견이 33%를 차지했다. ‘민간사회 비리가 덜 심각하다’고 응답한 의견은 36%였다. 한편, ‘잘 모르겠다’고 응답한 의견은 4%였다.

‘공직사회와 기업사회 비리척결 둘 다 만만치 않아’, CEO 40%

그렇다면 CEO들은 한국 사회의 비리척결 가능성에 대해서 어떻게 생각할까? ‘공직사회와 기업사회의 비리척결 노력 중 어느 쪽이 더 어렵다고 생각하느냐’는 질문에 ‘둘 다 비슷한 수준이다’라고 응답한 CEO는 40%였다.

기업의 비리척결이 공직사회의 비리척결만큼 만만치 않다는 의견이다. ‘공직사회 비리척결이 훨씬 더 어렵다’는 의견은 35%, ‘어느 정도 더 어렵다’는 의견은 15%였다. 반면, ‘기업사회의 비리척결이 더 어렵다’고 인식한 CEO는 8%에 불과했다. 

이번 설문은 제조, 서비스, 금융, 유통, IT통신 등 다양한 분야의 기업 CEO들을 대상으로 했다. 조사 대상 CEO들의 기업 매출규모도 300억 원 미만 기업부터 2조원 이상의 기업까지 다양했으며, 전문경영인(32%)과 기업오너(68%)의 비율도 이 같이 나타났다.

저작권자 © 인터넷조은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