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눔공동체 건설의 밑거름으로 승화시키자

이명박 대통령의 재산환원을 계기로 기부문화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기부는 양극화로 발생할 수 있는 사회적 균열을 막고 사회구성원간의 신뢰를 형성하는 역할을 한다는 점에서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더 나아가 이를 기반으로 건강하고 성숙한 자본주의 사회로의 발전을 촉진하는 촉매역할을 한다. 

우리사회의 기부문화는 아직 걸음마 단계에 불과하지만 기부문화 활성화에 대한 공감대는 비교적 빠르게 확산되고 있다. 이러한 배경에는 기업들의 자발적 사회공헌활동이 기여해 온 바가 크다. 실제로 사회복지공동모금회의 2008년 자료에 따르면 기업에 의한 기부가 70.1%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업의 사회공헌활동이 우리사회의 기부문화를 선도하고 있는 만큼 기업 스스로의 인식변화와 함께 국가차원의 적극적인 지원이 필요한 시점이다.

기업들이 사회공헌활동을 본격적으로 추진하기 위해 내부제도와 시스템을 구축하는 등 적극적인 움직임을 보이고 있지만 기업 스스로의 인식과 방법론이 한계를 보이고 있고 국가 차원의 활성화 노력도 미흡한 실정이기 때문이다.

먼저 기업의 사회공헌활동에 대한 패러다임이 사회투자개념으로 전향돼야 한다. 사회공헌활동을 이윤창출의 근원인 소비자들에 대한 기업 이미지를 제고하고 미래의 기업 가치를 높이기 위한 장기적 차원의 투자로 인식해야 한다. 실제로 국민의 92%가 사회공헌활동 참여기업에 호감을 느끼며, 소비자의 75%는 같은 품질이라면 사회적으로 좋은 일을 하는 브랜드로 바꾸겠다는 조사결과도 있다.

기부문화 조성, 세제혜택 확대 등 정부차원의 노력도 뒷받침돼야 한다. 세제혜택 확대는 가장 현실적인 대안으로 제시되고 있다. 우리나라는 개인 10%, 법인 5%의 세제혜택을 주고 있는데, 미국(개인 50%, 기업 10%), 일본(개인, 기업 각 25%) 등 선진국 수준으로 혜택을 늘려야 한다는 지적이 많다.

사회공헌이 고객의 불만을 무마시키기 위한 술책이라거나 결국 기업의 이익을 위한 불순한 의도라는 식의 오해를 해소하고 나눔 문화 차원의 긍정적 인식으로 전환시키는 것도 국가의 몫이다.

고령화의 급속한 진전 등으로 인해 국가의 복지재정 부담이 갈수록 커지고 있는 현실 속에서 사적영역인 기업의 복지자원을 잘 활용한다면 정부와 기업, 소비자인 국민 모두에게 보탬이 되는 일석삼조의 효과를 거둘 수 있다.

기업의 적극적인 사회공헌활동이 우리사회에 나눔 문화를 확산시키는 자양분이 되어 우리 민족 내면에 깊이 잠재해있는 공동체문화를 복원시키는 단초가 되길, 이를 통해 대한민국이 꿈과 희망이 넘치는 행복공동체로 거듭나길 기대해 본다.

임두성 :  18대 한나라당 국회의원
               한빛 복지협회 회장
               국제 IDEA협회 이사

※ 칼럼ㆍ기고는 본지 편집방향과 다를 수도 있습니다.

저작권자 © 인터넷조은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