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자(莊子:?BC369~BC286?)는 이름이 주(周) 요, 자는 자휴(子休)로 춘추전국시대 송나라의 몽읍(蒙邑)[지금의 허난성 상치우(商丘)]에서 태어 난 유명한 사상가이자 문학가이다. 장자는 고향에 서 칠원(漆園: 옻나무 밭)을 관리하는 칠원오리 (漆園傲吏)라는 벼슬을 지내기도 하였으나 벼슬을 내려놓고 은거하며 도가사상의 꽃을 피웠다. 

노자와 열자, 양주의 사상을 계승하였으며 노자와 함께 도가의 창시자라 불린다.<장자>는 본래 총 52편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지금은 7편의 내편, 15편의 외편, 11편의 잡편으로 구성되어 33편만 전한다. 이중 내편은 장자가 집필하고, 외편과 잡편은 그의 제자와 후학들이 기록한 것으로 전해지지만 내편이나 외편에 각기 장자가 기록한 것으로 추정되는 것들이 있고 또 각기 장자의 기록이라 할 수 없는 것도 있다. 

장자는 인간이 지각할 수 있는 세상 모든 것들의 대립과 구별 및 차별은 도의 관점에서 보면 무의미 하고 또 선악, 미추도 그러하다는 <제물론>을 주장한다. 

여기에는 편협한 입장에서 벗어나 道의 관점에서 사물을 보게 되면 일체의 대립과 차별은 사라지고 절대 무차별한 우주의 존재 원리인 道에 귀일하며 제동(齊同: 그 어떤 차별도 없이 똑같아짐)하게 된 다는 만물제동(萬物齊同)과 선과 악, 아름다움과 추함, 즐거움과 고통, 삶과 죽음 등은 서로 독립된 절대적인 것이 아니라, 

단지 동일한 실제의 양면, 즉 단일한 전체의 양극을 나타내는 상대적인 것으로 결국 세계를 초월해 존재하는 궁극적인 원리인 道로 합해진다는 만물제일(萬物齊一), 그리고 道의 관점에서 보면 나와 자연(만물)은 따로따로 떨어져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전체 속의 한 부분으로 궁극적으로는 하나가 되는데, 나와 자연이 하나가 되는 경지에 있을 때만 인간은 비로소 자유스러울 수 있다는 물아일체(物我一體 : 절대 자유의 경지)의 경지를 포함된 개념이라 말한다. 

그러면 그의 언행 속으로 들어가 보자. 여기서 그는 "차부득자 시야 실자 순야 안시이처순 애락불 능입야(且夫得者 時也 失者 順也 安時而處順 哀樂不能入也 : 하물며 사람이 세상에 태어나는 것은 때를 만났기 때문이고, 세상을 떠나는 것도 하늘의 뜻에 따른 것이니 편안한 마음으로 때를 받아 들이고 자연의 순리에 따른 다면 슬픔이나 기쁨이 끼어들 틈이 없다."<대종사편>)라면서, 

세상의 흐름에 순응하며 살라하고, "오문지어사 유기계자심유기사 유기사자심유기심 기심존어흉 중즉순백불비 순백불비즉신생불정 신생불정자 도지소불재야(吾聞之吾師 ,有機械者心有機事 ,有機事者心有機心. 機心存於胸中則純白不備, 純白不備則神生不定, 神生不定者, 道之所不載也:  

내가 스승님께 듣기로 기구라는 것이 있으면 반드 시 요령을 피우기 마련이고, 요령을 피우면 교활한 마음이 생기는 법이며, 교활한 마음이 생기면 순수 한 마음을 가질 수 없고 정신적으로 안정되지 못 하면 도가 깃들지 않는다"<천지편>)라 말하면서, 

사람의 마음은 더욱더 많은 것을 누리길 좋아하고 더욱더 편하길 좋아하니 자신을 늘 경계하며 살라 하고, 또 "부이이합자 ,박궁화환해상기야, 이천속자, 박궁화환해상수야(夫以利合者,迫窮禍患害相棄也, 以天屬者,迫窮禍患害相收也: 이익으로 맺어 진 사람들은 어려움에 처하면 서로를 버리지만 하늘이 맺어준 사람들은 어려움에 처하면 서로를 포옹한다.")라면서 시류에 편승해 흐르는 인간의 심성을 꿰뚫어보라 말한다.
(내일은 장자2부로 이어집니다.)

오늘도 요령과 교활함을 물리치고 자연의 이치에 순응하며 순수하게 살아가는 화요일이 되시기를 응원합니다.

사단법인)독도사랑회
사무총장/박철효배상

저작권자 © 인터넷조은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