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제 1부에서 이어집니다.)
⚉孔子(이름은 孔丘 BC 552~BC 479)는 주의 제후국인 노나라에서 태어나 예·악·사(활쏘기)· 어(마차술)·서(서예)·수(수학)에 능통하고 고전에도 밝았다. 그의 어록이 담긴  <논어>는 유교의 최고 가치가 담겨있는 책으로 공자의 제자 들과 제자의 제자들이 편집했을 것으로 여겨진다. 

또 한편으로는 "방어리이행 다원(放於利而行이면  多怨: 이익만을 위해서 행동을 하면 원망을 많이 받는다.)"하고, "덕불고 필유린(德不孤라 必有隣:  덕이 있는 사람은 외롭지 않으며 반드시 이웃이 있다)"고도 했다. 

"지지자 불여호지자 호지자 불여락지자(知之者는  不如好之者요 好之者는 不如樂之者: 알기만 하는 사람은 좋아하는 사람만 못하고 좋아하는 사람은 즐기는 사람만 못하다.)"다면서 진정한 성공 비결을 가르쳐 주기도 했다. 

또 인자에 대해서 이르길 "부인자 기욕립이립인 기욕달이달인(夫仁者는 己欲立而立人하며 己欲達而達人: 어진 사람이란 자신이 나서고 싶을 때 남을 내세우며, 자기의 목적을 달성하고 싶으면 남을 먼저 달성하게 한후 자기가 한다.)"이라 하고, 

"삼인행 필유아사언 택기선자이종지 기불선자이개지(三人行에 必有我師焉이니 擇其善者而從之오 其不善者而改之: 세 사람이 같이 길을 가면 그중에 반듯이 나의 스승이 있다, 그들의 착한 점을 골라서 따르고 나쁜 점은 살펴서 스스로 고쳐야 한다.)"라면서, 사실 따지고 보면 세상에는 모든 것들이 배울 것들이라고 말 한다. 

그러면서 경계하기를 "과유불급(過猶不及: 지나친 것은 모자람만 못하다.)"이라 하고 "비례물시 비례 물청 비례물언 비례물동(非禮勿視하고 非禮勿廳 하며 非禮勿言하고 非禮勿動하라: 예가 아니면 보지를 말고 예가 아니면 듣지도 말며 예가 아니면 말도 하지 말고 예가 아니면 행하지를 말라.)한다. 

그러면서 군자에 대해서 말하길, "군자 성인지미 불성인지악 소인 반시 (君子는 成人之美하고 不成人之惡하나니 小人은 反是: 군자는 남의 좋은점을 권장하여 이루게 하고 남의 악한 일은 선도하여 못하게 하지만 소인은 이와 반대이다)"라 하고,  "불원천 불우인(不怨天하며 不尤人: 하늘을 원망 하지 않고 사람을 탓하지 않는다.)한다고 했다. 

또 인간관계의 신중성을 강조하면서 "중오지 필찰언 중호지 필찰언(衆惡之라도 必察焉하며 衆好之라도 必察焉: 여러 사람이 미워하여도 반드시 살펴보아야 하며, 여러 사람이 좋아해도 반드시 살펴보아야 한다.)하였고, 

"불이불개 시위과의(不而不改 是謂過矣: 잘못을 저지르고도 고치지 않는것을 일러 잘못이라 한다)" 라 하면서 잘못을 고쳐 곧은 삶을 살라 강조하고,  "유녀자여소인 위난양야 근지즉불손 원지즉원(唯女子與小人이 爲難養也니 近之則不孫하고 遠之則怨: 여자와 소인은 다루기 어렵다.  가까이하면 불손하게 굴고 멀리하면 원망을 한다.)"그러면서 여자와 어린이를 조심스레 다루라고 충고하면서, 

"여선인거,여입지란지실,구이불문기향, 즉여지화의, 여불선인거, 여입포어지사, 구이불문기취, 역여지화의, 단지소장자,적,칠지소장자, 흑, 시이, 군자, 필신기소여처자언(與善人居, 如入芝蘭之室, 久而不聞其香, 卽與之化矣, 與不善人居, 如入鮑魚之肆, 久而不聞其臭, 亦與之化矣, 丹之所藏者, 赤,  桼之所藏者, 黑, 是以, 君子, 必愼其所與處者焉,: 

착한 사람과 같이 살면 향기로운 지초와 난초가 있는 방안에 있는 것과 같아서 오래도록 그 냄새를 알지 못하나 곧 더불어 그 향기가 동화되고, 착하지 못한 사람과 같이 있으면 생선가게에 들어간 것과 같아서 오래 그 나쁜 냄새를 알지 못하나, 

또한 더불어 동화되나니, 붉은 것을 지니고 있으면 붉어지고, 옷(漆)을 지니고 있으면 검어지느니라.  그러므로 군자는 반드시 그 있는 곳을 삼가야 할 것이니라.) 이라면서 어떤 사람과 어울려 살아야 할지를 가르치는 등 수많은 교훈을 남겼다. 
(내일은 3부로 이어집니다.)

오늘도 예가 아니면 보지도, 듣지도, 말도, 행하지 도 않는 현명한 목요일이 되시기를 응원합니다.

사단법인)독도사랑회
사무총장/박철효배상

저작권자 © 인터넷조은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