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벤처형조직 아이디어 경진대회] ③산림청, ‘스마트 산림재해 대응단’

행정안전부는 혁신적 아이디어를 실제 정책으로 구현하는 ‘벤처형조직’ 제도를 추진하고 있다. 그리고 지난 6월 11일에는 이런 벤처형조직에서 현실화할 정책 아이디어를 겨루는 경진대회가 열렸다. 정책브리핑은 대회에서 수상한 주요 부처의 대표 과제를 순차적으로 소개한다. (편집자 주)

지난 4월 강원도 동해안 산불로 여의도 면적의 9배가 넘는 산림이 불에 타며 3명의 인명피해와 566가구 1200여명의 이재민이 발생했다.

이에 정부는 긴급회의를 주재하는 등 가용 자원을 모두 동원하면서 피해지역을 ‘특별재난지역’으로 선포하는 등 피해 복구에 총력 대응을 펼쳤다.

이 결과 ‘사상 최고의 진화작전’이라는 평가를 받으며 화재는 진압되었지만, 산림청은 헬기 투입이 어려운 야간 산불과 강풍진화, 험준한 산림의 기존 방독면·방화복 착용에 어려움을 겪었다고 토로했다.

그리고 이러한 내용을 타산지석으로 삼아 최첨단 기술을 활용해 애로사항을 개선하겠다고 밝혔다. 

산림청의 스마트 산림재단 대응 추진계획.
산림청의 스마트 산림재단 대응 추진계획.

산림청은 2019 벤처형조직 아이디어 경진대회에서 산불진화 등 신속한 재난대응으로 산림 및 국민의 생명과 재산보호를 목적으로 하는 ‘스마트 산림재난 대응’ 과제를 발표했다.

그러면서 최첨단 장비를 활용해 기존에 25분 걸리던 산불지형도 작성을 향후 4초로 단축시키는 등 혁신적 내용을 제시했고, 경진대회 평가단의 호응을 이끌어 내며 3위에 선정됐다.

이로서 산림청은 향후 총액인건비를 활용해 벤처형조직인 ‘스마트 산림재해 대응단’을 운영할 예정으로, 인력 의존의 야간 산불 진화에서 벗어나 최첨단 기술력을 접목할 계획이다.

또 드론과 사물인터넷, 웨어러블 장비 개발은 물론 최첨단 기술(소화탄, Live mapping)과 사물인터넷 활용 산불감지 전송시스템을 구축하고 이와 관련된 교육 프로그램을 진행하겠다고 밝혔다.

특히 드론에 대한 관심과 대내외 수요 증가에 비해 드론에 대한 제도적.정책적 지원과 인력 양성이 부족한 만큼, 내부 연구 모임인 포레스트 드론(산림항공본부)과 Big Bird(보은관리소) 등을 최대한 활용할 방침이다.

아울러 최근 강원도 동해안 산불을 계기로 국민신문고에 제기된 국민제안을 최대한 반영해 드론 영상 활용을 통한 원거리 재해 실시간 관리와 소화약제 살포용 드론을 도입하겠다고 강조했다.

2019 벤처형조직 아이디어 경진대회에서 수상한 산림청 스마트 산림재해대응단과 이재영 행안부 정부혁신조직실장(좌측 세번째). (사진=산림청 제공)
2019 벤처형조직 아이디어 경진대회에서 수상한 산림청 스마트 산림재해대응단과 이재영 행안부 정부혁신조직실장(좌측 세번째). (사진=산림청 제공)

현재 산림청은 산림자원 조사와 훼손지 모니터링을 위해 산림과학원과 지방청 등에서 81대의 드론을 운용 중이다. 그러나 이는 대부분 소형이며 열화상카메라 등의 기능 탑재에 제한이 있었다.

또한 드론이 산불 등 비상 시에 운용할 수 있는 효과성이 높음에도 불구하고, 고도 규제와 강풍 영향 등에 따른 파손과 책임 소재로 인해 활용이 미비했었다.

게다가 드론 업무를 여러 부서에서 분산 수행하고 담당 인력도 극소수에 불과해 적극적인 사용이 어려웠다.

이에 벤처형조직인 스마트산림재해대응단을 조직해 드론 사용을 활성화하면서 산림재해의 현장대응력을 강화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 산림 드론 관련 규정의 재검토와 표준화·체계화를 통해 드론을 야간 산불과 피해지 조사, 산림현장 모니터링 등 실제 현장에 적극적으로 적용하고자 한다.

또 소화탄(30kg)을 탑재하여 산불 탐지 후 투하가 가능한 드론을 개발하기위해 ‘드론 산불진화팀’ 1호 창설을 추진할 계획이다.

아울러 실시간 드론 영상 촬영 및 라이브 매핑(Live Mapping) 기술을 개발하고 빅데이터 시스템을 구축·운영하고자, 드론영상 실시간 전송시스템과 빅데이타 관리시스템을 구축하겠다는 청사진을 밝혔다.

이와 함께 인력 의존형 산불진화 작업의 최첨단화를 위해 기술개발도 동시에 추진하게 된다.

먼저 산악지형 탐사의 인력·육안의 한계를 극복하는 다양한 기술 접목을 위해 해외사례와 전문기관 등의 벤치마킹을 추진하고, 기술개발과 시범운용의 확산을 위해 제도 개선과제 발굴 및 관련 예산을 확보하고자 한다.

특히 사물인터넷(Zig-bee 등)을 활용한 산불감지와 가상·증강현실 교육훈련, 잔불 처리, 야간이동이 곤란한 지역의 산불진화 로봇 및 호스를 이동하는 근력 증강 웨어러블 장치 등의 스마트 산림재해 대응 기술을 화재진압에 접목할 방침이다. 

라이브 맵핑(Live Mapping) 기술은 신속한 산불대응이 가능하다.
라이브 맵핑(Live Mapping) 기술은 신속한 산불대응이 가능하다.

산림청의 벤처형조직은 인력양성을 위해 최첨단 기술 및 드론 운영.SW 교육훈련 체계화도 맡게 된다.

여기에는 교육훈련계획을 반영해 드론 운용 등의 인력양성을 목표로 설정하고, 산림교육원에서 운영중인 연 4개의 교육과정(기초3, 심화1)을 확대 개편할 계획이다.

아울러 드론운용자 전문교육기관 위탁교육 및 임무형 특화교육을 확대하면서, 2020년에는 드론 평가조종자 양성 및 국토교통부 전문교육기관 선정을 추진한다.

정보관리와 협업을 위해서는 정보 관리 및 개방으로 협업과 참여를 확대하는데, 재해·토지·생태·산악기상 관련 확보 정보를 농림식품부를 비롯해 환경부와 기상청,국토부 등과 공유 활용한다.

이밖에도 드론 영상정보를 체계적으로 관리하면서 대국민으로까지 공개 범위를 넓혀 공공부문에서 생산되는 지리공간정보를 산업화에도 지원할 예정이다.

이렇게 되면 이상기후 등으로 인한 예측 가능성을 낮출 수 있고, 대형화 추세의 산림재해에 최첨단 기술 활용을 기반으로 한 덕분에 재해대응 체계를 확립할 수 있게 된다.

뿐만 아니라 AI 로봇과 웨어러블, 드론 등 최첨단 장비의 개발로 험준한 산림사업 현장 활용을 통해 열악한 업무 환경을 극복할 수 있다. 

또 시스템 구축을 통한 빅데이터 분석 및 부처간·대국민 정보 공유는 효율적 산불 진화로 이어져 국가 산림자산과 국민의 생명과 재산을 보다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스마트 산림재난 대응에 따른 기대효과.
스마트 산림재난 대응에 따른 기대효과.

한편 산림청은 벤처형 조직에 팀장에게 팀원 선발 권한과 위임 전결권을 대폭 부여하고, 인사상 우대와 각종 포상, 유연근무 등으로 적극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인터넷조은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