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이 가공할 만한 위력을 발휘하고 있다. 질적성장 제조강국을 표방한 정부의 개혁이 강력하고 흔들림 없이 3년째 추진되고 있다.

환경오염 개선은 이같은 개혁과 병행된 골격중의 하나다. 

불법강재를 퇴출시킨 것이 대표적 사례다. 이는 중국 시장 가격이 높은 수준에서 안정을 찾고, 또 철강사들의 대폭적인 실적 개선의 바탕이 됐다.

불법강재 퇴출과 함께 편법 생산을 일삼는 공장에도 단칼을 댔다. 폐쇄 명령과 기업운영이 불가능할 규모의 막대한 벌금을 물린다.

정부와 철강산업이 각고의 노력을 쏟는 개혁에 반하기 때문이며, 업계의 상생을 해치고 이익만을 편취하려는 장사치에 대한 단죄일 것이다.

중국은 올해 역대급 조강생산량을 기록하고 있다. 월 1000만 톤에 달했던 수출을 올해 반토막 내고도 유례없는 높은 성장세를 이어가고 있다. 저급재 일색이었던 중국산은 내수는 말 할 것 없이 해외서도 그 종적이 희미해졌다.

최정우 포스코 신임 회장은 'with POSCO'를 천명했다. 개혁을 위한 러브레터도 자진해서 받기로 했다. 이 같은 열정 노력은 많은 부분에서 퇴색되고 있다. 대응재 공생재가 그 중 하나다.

B급재로 평가되는 이 강종은 업계의 도마 위에 오르고 있다. 어제 오늘 일은 아니다. 포스코는 열연은 대응재, 냉연은 공정생략재를 생산 판매하고 있다. 중국산을 대응하겠다는 취지로 수년 째 동종사보다 낮은 가격에 시장에 풀리고 있다.

현 시점에서 보면 중국이 이미 포기한 시장에 또 다른 중국 저가재, 즉 대응재 공생재라는 이름의 제품으로 채운 셈이다.

이 같은 B급재는 포스코의 점유율 유지 혹은 확대에 분명한 효과를 냈다. 하지만 국산 철강재의 가치를 낮췄고, 동종업계의 수익개선마저 발목을 붙들었다. 상생의 문제다.

또 최종 수요처인 중소 제조기업은 어떤가. 상당수는 현재 포스코 B급재를 쓰고 있다. 그런 면에서 철강시장의 후퇴를, 국내 제조기업의 질을 떨어뜨렸다는 비평도 나온다. 대기업이 KS 인증이 안되는 제품을 만들겠다는 발상 자체가 코미디라는 쓴소리를 내뱉는 인사가 한둘 만은 아니다. 

수개월째 적자를 오가는 동국제강 동부제철 세아씨엠 등의 시장까지 포스코 몫으로 돌아가는 현실은 더 안타깝다.

국내 철강시장 점유율 50% 매출 이익규모 70%, 이익률 전세계 1위의 포스코...

최정우 포스코 신임 회장이 45조 투자, 2만명 고용을 천명할 때 상당기업은 회사존폐를 고민하며 잠을 이루지 못한다. 한국 철강산업에 포스코만 남을 것이란 볼멘소리가 자주 들린다. 이 같은 현실에서 미래를 위해 누가 무엇을 할 수 있을지 씁쓸한 현실이다.

<철강전문통신 스틸프라이스 제공>

저작권자 © 인터넷조은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